아율융서 님의 블로그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④ 본문

택시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④

아율융서 2024. 8. 21. 18:40

 

택시운전 자격시험 후기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①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②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③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⑤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⑥ (tistory.com)


[시험 개요]

    시험 문항 : 70문항

    시험 시간 : 70  (11:00~12:10)

    합격 점수 : 60% (42문항)

    시험 범위 : 관련 법규(20) / 안전운행 요령(20) / 운송서비스(20문항) / 지리(10)


[2] 안전운행 요령 (자동차 관리 / 자동차 응급조치 / 자동차 검사 및 보험 / 안전운전 기술)


 

 

1.      차량주행 전 안전운전 위한 점검 사항

(1) 연료 게이지 (2) 타이어 공기압 (3) 바닥매트 정상위치   (방향제 설치여부 x)

 

 

2.      타이어 마모에 영향 주는 요소

(1) 급제동, 급감속 (2) 차량 중량 (3) 타이어 공기압 (4)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 (5) 차량 속도, 커브

(6) 노면 (7) 운전습관 (8) 기온 (습도 x)

 

 

3.      LPG(액화석유가스) 특성

(1)   고압용기 내에 항상 대기압의 5.6 정도의 압력을 형성한다.

(2)   공기보다 무겁다.

(3)   대기중에 누출되면 기화해서 부피가 250배 증가한다.

 

 

4.      LPG 연료탱크 (LPG 봄베)

(1)   기체송출 밸브, 액체송출 밸브, LPG충전 밸브가 부착되어 있다.

(2)   연료펌프 부분이 송출밸브 역할을 한다.

(3)   연료탱크는 회색, 충전 밸브는 녹색, 연료차단 벨브는 적색

(4)   LPG 충전량의 [85%]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      LPG 자동차 특징

(1)   엔진소음 적다.

(2)   노킹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노킹 현상 : 연료가 고압/고온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폭발하는 현상

(3)   유해배출 가스량이 줄어든다.

(4)   연료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5)   겨울철에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다.

(6)   폭발 위험이 있다.

 

6.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현상

(1)   <베이퍼 록 Vapor lock> 현상 : 브레이크 오일이 끓어서 기포가 발생하여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현상,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를 계속 밟으면 발생하기 쉽다.

(2)   <페이드 Fade> 현상 : 브레이크 패드가 녹아서 떡처럼 되어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

 

 

7.      <스탠딩 웨이브> 현상이란, 타이어 공기압이 적어 차가 달릴 때 타이어 뒷부분이 찌그러지는 현상, 고열 발생하여 타이어가 곧 터진다. 스탠딩 웨이브 현상을 막기 위해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평소보다 10~20% 많게 한다.

 

 

8.      <하이드로 플래닝> 현상 = 수막현상 (물 위를 미끄러지는 현상) -> 타이어 공기압 점검하고 공기압을 평소보다 조금 높게 한다.

 

 

9.      차량 흔들림 용어

(1)   노즈 업 (차체 전면이 올라가는 현상: 출발 시)

(2)   바운싱 (상하 진동)

(3)   피칭 (앞뒤 진동)

(4)   요잉 (좌우 진동)

(5)   다이브 (노즈업과 반대 = 노즈 다운)

(6)   <트램핑>은 차체가 흔들리는 현상

(7)   <호핑>은 차체가 위아래로 말타듯이

 

    

10.    배기가스 색

(1)   투명도 높은 붉은색 : 정상

(2)   갈색 : 장시간 사용, 가혹한 상태에서 사용

(3)   검은색 : 기어의 마멸, 클러치 디스크 마멸(분말), 농후한 혼합가스가 들어와 불완전 연소되는 경우 배기가스 색

         → 조치  방법 : 밸브 간극을 조정한다.

(4)   백색 : 엔진오일이 섞이거나, 수분이 다량 유입

 

 

11.    엔진오일은 60~80%만 채우는 것이 좋다 (가득채울수록 좋다 x)

 

 

12.    튜브리스 타이어 특징

(1)   못에 찔려도 공기가 새지 않는다.

(2)   펑크 수리가 간단하다.

(3)   무게가 가볍다.

(4)   튜브 물림 등 튜브로 인한 고장이 없다.

(5)   유리 조각 등에 의해 손상되면 수리가 어렵다.

(6)   림이 변형되면 타이어와의 밀착이 불량하여 공기가 새기 쉽다.

 

 

13.    자동차의 연료소비량이 많은 원인

(1)   브레이크가 제동된 상태에 있을 때      → 조치 : 브레이크 라이닝 간극을 조정한다.

(2)   클러치가 미끄러질 때

(3)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할 때

(4)   연료 누출이 있을 때

 

 

14.    동력발생/전달장치

(1)   동력전달장치의 구성 : 클러치, 변속기, 추진축, 차동장치 등

(2)   플라이 휠과 같이 회전하는 부품은 <압력판>

(3)   <토르센> 또는 차동제한장치는 진흙 길 등에서 한쪽 바퀴가 헛돌며 빠져나오지 못할 경우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

(4)   AFS (Air Flow Sensor : 공기유량센서) : 엔진에서 실린더 내부의 흡입공기량 계측

(5)   TPS (Throttle position sensor : 스로틀 위치센서) : 엔진의 가속상태를 판단하여 제어

(6)   <액면계>는 용기 속의 액면 위치를 지시하는 장치

(7)   <긴급차단장치>는 엔진이 멈춘 경우 연료공급을 차단

(8)   시동모터가 천천히 회전하거나 작동되지 않는 원인

     배터리 방전

     접지 케이블 이완

     배터리 단자의 부식

     엔진오일 점도가 너무 높을 때

(9)   시동모터는 작동되나, 시동이 걸리지 않는 원인

     연료 없음 (연료 보충 필요)

     연료 필터 막힘 (연료 필터 교환) 

    예열 작동 불충분 (예열 시스템 점검 필요)

 

 

15.    조향장치

(1)   조향장치(핸들)의 구성  : 조향핸들, 조향칼럼, 조향축, 조향기어(스티어링 기어) 박스, 피트먼 암. 드래그 링크, 너클 암, 스핀들, 앞차축, 타이로드    * 쇽 업소버는 현가장치에 해당한다.

(2)   조향핸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원인

     쇽업소버의 작동 상태가 불량할 때

     허브 베어링의 마멸이 과다할 때

     앞바퀴 정렬상태가 불량할 때

     타이어의 공기압이 불균일할 때

(3)   조향핸들이 무거워지는 원인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할 때

     타이어의 마멸이 과대할 때

     앞바퀴의 정렬상태가 불량할 때

     조향기어 박스 내 파워 스티어링 오일이 부족할 때

     조향기어의 톱니바퀴가 마모되었을 때

(4)   핸들이 무거울 때 조치사항

     적정 공기압으로 조정한다.

     파워 스티어링 오일을 보충한다.

 

 

16.    현가장치

(1)   현가장치 (suspension : 연기, 보류, )란 차체와 차축 사이의 연결장치로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

(2)   스트러트 유닛 (쇽 업소버 shock obsorber ; 일명 쇼바) : 차고 높이 조절기능, 주행 중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

(3)   G센서 (중력센서) :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차체의 횡가속도와 그 방향을 검출하는 센서

(4)   조향 휠 각속도 센서 : 전자제어 현가장치 부품 가운데 선회 시 차체의 기울어짐 방지하는 장치

(5)   공기 스프링 : 대형버스, 장거리 주행 자동차에 사용

(6)   판 스프링 : 버스, 화물차에 사용

(7)   토션바 스프링 : 쇽 업소버를 함께 사용

(8)   스태빌라이저 : 원심력으로 차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감소시켜주는 장치

 

 

17.    휠 얼라인먼트 종류 (정렬 상태)

(1)   캠버(camber) : 차량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기울기 (정캠버 vs 영캠버/역캠버)

(2)   토우(toe) : 차량 위에서 보았을 때 타이어 앞쪽의 기울 (토우 인 vs 토우 제로/아웃)

(3)   캐스터(caster) : 차량 옆에서 보았을 때 수직선에 대해 스티어링 축이 기울어진 상태  (정캐스터 vs 영캐스터/역캐스터)

 

 

18.    휠 얼라인먼트의 역할

(1)   타이어의 마멸 최소화 (토우 인의 작용)

(2)   조향핸들 조작의 편의성 (캠버와 조향축 경사각 작용)

(3)   조향핸들 조작의 정확성/안정성 (캐스터의 작용)

(4)   조향핸들 복원성 (캐스터와 조향축 경사각 작용)

 

 

19.    <축간거리> 앞바퀴와 뒷바퀴 중심의 수평거리, <윤간거리>는 바퀴와 바퀴 거리

 

 

20.    <시미 Shimmy> 현상이란, 타이어 정렬 상태가 불평형일 때 발생하며, 바퀴가 좌우로 심하게 흔들린다.

 

 

21.    <트램핑 tramping> 현상이란, 타이어의 정적 불평형 상태일 때 발생하며, 차체가 흔들리거나 위아래로 진동하는 현상이다. 정적 불평형 상태를 제거하기 위해 무거운 부분의 정반대에 평형추를 부착한다.

 

 

22.    언더 스티어 vs 오버 스티어 용어 정리

(1)   언더 스티어 : 코너링 시 핸들을 돌린 각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 (전륜구동 차량)

(2)   오버 스티어 : 코너링 시 핸들을 돌린 각도보다 더 돌아가려는 현상 (후륜구동 차량)

 

 

23.    제동장치 (브레이크)

(1)   디스크 브레이크브레이크 패드가, 드럼 브레이크브레이크 라이닝이 회전하는 디스크를 제동한다.

(2)   드럼 브레이크는 오래된 자동나차 트럭에 사용되며, 저렴한 생산비용으로 신차의 후륜에도 여전히 설치된다.

       과열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24.    감속 브레이크의 종류

(1)   엔진 브레이크

(2)   배기 브레이크

(3)   와전류 브레이크

 

 

25.    정지거래 = 공주거리 + 제동거리

 

 

26.    엔진이 과열되었을 때, <서모스탯 thermostagt >을 교환한다.

 

 

27.    자동차 정기검사 미시행 시 과태료

(1)   정기검사 기간 만료일로부터 10일 이내 [2만원]

(2)   정기검사 기간 만료일로부터 30일 초과 114일 이내 [2만원 + 31일째부터 3일 초과시마다 1만원]

(3)   정기검사 기간 만료일부터 115일 이상 [30만원]

 

 

28.    피보험자동차를 도난당했을 때 도난사실을 <경찰관서> 신고한 날로부터 [30] 경과 후 보험금지급을 청구한다. 기간을 두는 이유는 차량을 찾는 수가 있기 때문 유예기간을 둔다.

 

 

29.    <보험증권>은 분실하여도 계약정보가 보험회사에 남아있으므로 보험금 지급 가능하다.

 

 

30.    운전 중 전방을 멀리 볼 경우 안전운전에 유리하다 : 좌우를 넓게 관찰할 수 있다.

(1)   30m 앞쪽을 보고 있을 경우 좌우 1.5m 정도의 시야

(2)   300m 앞쪽을 보고 있을 경우 좌우 15m 정도의 시야

정상인의 시야는 180~200도

 

 

31.    안전운전 5가지 기본기술 : 1) 전방을 멀리 본다 2)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3) 눈을 계속해서 움직인다 4)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볼 수 있게 한다. 5) 차가 빠져나갈 공간을 확보한다.

 


32.   
운행상의 안전기준

(1)   자동차의 승차인원은 승차정원의 [110%] 이내일 것. 단 고속도로에서는 승차정원을 넘어서 운행할 수 없다.

(2)   고속버스 운송사업용 자동차, 화물자동차의 승차인원은 승차정원 이내일 것

(3)   화물자동차의 적재중량은 [110%] 이내일 것

(4)   자동차의 적재용량

       길이 : 자동차 길이의 110% 이내, 이륜자동차는 +30cm

       너비 : 후사경으로 뒤쪽을 확인할 수 있는 범위

       높이 : 화물자동차는 지상으로부터 4m, 소형/륜자동차 2.5m 이륜자동차는 2m

 

     

33.    <단독사고>란 운행 전 주행정보 수집하여 여유 있는 운전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고

 

 

34.    타이어 펑크가 나면 급정지 하지 않고 서서히 운전하여 옆으로 이동한다. 잘 굴러간다.

 

 

35.    <방어운전> 3단계 시계열 과정 핵심요소

(1) 위험의 인지 – (2) 방어의 이해 – (3) 정확한 행동

 

 

36.    응급환자 발생하여 119 신고 시

(1)   환자의 이름

(2)   환자의 상태

(3)   사고발생 장소      * 사고 종류(x)

 

 

37.    교통사고 발생 시 조치 순서

(1) 2차사고 방지 조치 – (2) 부상자 구출 – (3)경찰 신고

ㅇ 부상자 발생 시 가장 먼저 확인할 것은 <출혈 확인> 이다.   * 호흡확인 (x)

 

 

38.    사고발생하여 보험계약자가 보험회사에 연락 시

(1)   피해자의 인적사항

(2)   가해자 인적사항

(3)   사고발생 일시와 장소     * 가해자의 보험가입상태 (x)

 

 

39.    교통사고 현장에서 측정 및 사진촬영 대상

(1)   사고지점 위치

(2)   도로 선형

(3)   물리적 흔적

(4)   사고현장 가로세로방향 길이 등

 

 

40.    고속도로 갓길에서 자동차 고장 시, 방호벽 너머 안전하게 즉시 대피한다. 안전삼각 표지판은 미터 규정이 없어지고 식별 잘되는 곳에 설치하면 된다.

 

 

41.    경사로 주차 시, 바퀴는 벽이나 도로턱 방향으로 돌려 놓는다.    * 반대방향 (x)

 

 

42.    해질 무렵 보행자를 발견하기 어려운 이유는 전조등 불빛이 주변 밝기와 비슷하기 때문

 

 

43.    야간운전 시 집중력이 높아진다 (x)

 

 

44.    어두운 터널 진입 후 적응하여 시력이 회복되는 것을 말하는 용어는 <암순응>

 

 

45.    불특정인이면 난폭운전, 특정인이면 보복운전

 


택시운전 자격시험 후기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①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②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③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⑤ (tistory.com)

택시운전 자격시험 기출문제 ⑥ (tistory.com)